[특별기고] 핵심 신념 (Core belief) 찾기
한 여성분이 말하길 자신의 오빠가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오래 전에 자신에게 자신과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여성분은 가족에게 들었던 자신에 대한 평가로 인해 자신은 문제가 있고 부족한 사람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렇게 생각하는 그 분에게 오빠가 그래서 그 이후에 대화를 전혀 하지 않는 지 아니면 그 때가 서로 갈등이 있었던 특수한 상황이었는지를 물어보았다. 그랬더니 그 때가 특수한 상황이었고 그 말이 한 번 들었던 경험이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상처를 주는 사람들이 처음부터 바른 말, 고운 말을 하는 사람이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은 데 세상은 건강하고 성숙한 사람이 있는 가 하면 상처입은 사람들도 많기 때문이다. 특히, 가족이 내뱉는 말들이 거칠고 상처가 되는 말인 경우에 사람들은 그 말에 영향을 많이 받고 그들의 말을 진리처럼 믿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학대를 주는 부모인 경우에도 그들을 사랑하고 그들에게 원망을 돌리기 보다 자신에게 원망을 돌리는 경우가 많다.
위의 여성은 자신과 이야기하기 싫다는 오빠의 말을 일회적인 표현으로 받아들여야 하는데 그 말을 영구적으로 받아들여서 자신에게 그 화살을 돌리며 자신을 문제가 있는 부족한 사람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렇게 받아들이는 것의 결과는 ‘낮은 자존감’이다. 타인이 나를 어떻게 바라 보느냐에 영향을 많이 받으니 결국 나의 가치가 하락을 하게 되는 것이다. 위의 여성이 오빠와의 관계뿐 아니라 주위의 친한 사람들과 몇 번의 이런 경험을 하게 되면 자신을 미워하게 되고 또 더 나아가서 주위 사람들은 나를 괴롭히는 사람들이라고 하는 피해의식을 갖고 살아가게 된다.
상처는 반복하는 경향이 있는데 상처가 반복되면서 사람들은 상처만 받는 것이 아니라 반복되는 상처 속에서 잘못된 거짓말을 믿게 된다. 그 거짓말을 많이 믿는 사람들은 자신을 사랑하게 되지 않을 뿐 더러 주위의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성격적인 결함을 가진 사람으로 성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나는 상처로부터 내 자신에 대해서 타인에 대해서 세상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갖게 되었는 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상처로 인해서 나를 너무 무가치하고 못난 사람으로 생각하고 있진 않은 지 또는 반대로 상처로 인해서 주위의 모든 사람들을 가해자로 생각하고 있진 않은 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해서 가장 흔한 거짓말들 중 몇 가지를 생각해 보면 ‘나는 무가치한 사람이야 ‘, ‘나는 충분치 않아’, ‘ 아무도 나를 사랑하지 않아’와 같은 자기 자신의 가치를 절하시키는 생각들이다. 물론, 이런 거짓말을 믿게 된 것은 그냥 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반복해서 가치 절하 평가의 말을 권위자로부터 들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는 경우도 있고 또 어떤 경우는 심한 신체적인 학대나 방임으로 인해서 그런 생각을 믿게 되기도 한다. 그것은 몸으로 정서적으로 경험한 나쁜 경험이기에 자연스럽게 그런 것을 경험한 나는 가치 없는 사람이기 때문이 야라고 생각하게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진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모두는 인간이라고 하는 것 자체로 가치 있는 존재이고 누구나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며 아무 일도 하지 않아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존재이다. 이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은 인간을 만드시고 그 인간이 무엇을 해서가 아니고 있는 모습 그대로 “참 좋았더라“라고 하셨다. 인간을 행위로 평가한다면 불의의 사고로 온 몸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 장애인은 가치가 없는 존재가 될 것이다. 그리고 능력으로만 인간을 평가한다면 인간은 순서를 매겨서 누가 더 중요하고 누가 덜 중요하다라고 평가받아야 한다. 사람들은 능력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을 비 인간적이라고 여긴다. 그것은 사람의 가치가 능력이나 행위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처들과 불우한 배경 속에서 자라난 사람이라고 할 지라도 그리고 현재 내가 처한 상황이 어렵고 힘들다 할 지라도 내가 가치 있는 존재인 것은 의심하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가슴 깊이 뿌리 박힌 내 자신에 대한 거짓말은 생각보다 바꾸는 것이 쉽진 않다. 어린 시절의 상처가 치료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각만 일시적으로 바꾼다고 할 때 또 다른 상처가 다가올 때 옛날에 뿌리 깊이 박혀 있던 거짓말을 다시 깨우기 때문이다. 인지 행동 치료에서는 그렇게 가슴 깊이 뿌리 박힌 생각을 ‘핵심 신념 (Core belief)’ 이라고 부른다. 가장 원뿌리 되는 핵심적인 생각이 크고 작은 일상의 상처에 영향을 주고 그것이 내적 신념들을 만들게 하는 데 부정적인 신념들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슴 깊이 뿌리 박힌 내 자신의 가치에 대한 생각은 바꾸는 것이 쉽지 않지만 꼭 바꾸어야 우리는 잘 살아갈 수 있게 된다.
가슴 깊이 뿌리 박힌 내 자신의 핵심 신념을 어떻게 찾아서 바꿀 수 있을까? 쉬운 문제는 아니지만 일상 생활에서 기분 나쁜 일을 경험할 때 지금 내 머리 속에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 지를 살펴보면 도움이 된다. 그리고 나서 그 생각이 어디로부터 온 것일까? 라고 생각을 해 보면서 생각의 뿌리는 한 단계씩 찾아보는 연습을 하다 보면 나의 핵심 신념을 찾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의 예에서 나온 여성분은 오빠와의 관계에서 기분 나쁜 일이 있을 때 자신의 머리 속에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모든 생각을 먼저 기록을 다 해보고 그 생각이 어떤 믿음에서 왔는 지를 찾아 보고 그 믿음이 사실인 지 그리고 그 생각에 반대되는 증거는 없는 지를 점검을 해 보고 그리고 나서 내 안에 있는 다양한 자동적 사고 그 밑에 내 자신에 대해서 내가 뭐라고 믿고 있는 지를 찾아보다 보면 내 자신에 대해서 내가 믿고 있는 신념을 찾게 된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기도를 통해서 내가 내 자신에 대해서 믿고 있는 거짓말이 어떤 것들이 있는 지 알게 해달라고 기도할 필요도 있다. 그래서 발견한 잘못된 핵심 신념이 있다면 건강한 반대 신념으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 한다. 건강한 사고가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사람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나의 부정적 핵심 신념을 새로운 신념으로 바꾸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처는 부정적 감정을 갖게 할 뿐 아니라 왜곡된 사고를 갖게 만들어서 나를 사랑하지 못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기에 살아가면서 경험한 상처가 있다면 반드시 상처 치유의 과정을 통해서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 왜곡된 사고를 건강한 사고로 바꾸어서 내 자신을 사랑할 뿐 아니라 타인과도 건강한 관계 맺기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별기고자 :
Rev Dr. HUN KIM (김 훈)
호주기독교대학 대표 (President of Australian College of Christianity)
One and One 심리상담소 대표 (CEO of One and One Psychological Counselling Clinic)
호주가정상담협회 회장 (President of Australian Family Counselling Association)
한국인 생명의 전화 이사장 (Chair of Board in Australia Korean Life Line)
ACA Registered Supervisor (ACA등록 수퍼바이저),
ACA Member Level 3 (ACA정회원)
기독교 상담학 박사 (Doctor of Christian Counselling)
목회상담학 박사 (Doctor of Pastoral Counselling)
고려대학교 국제경영 석사 (MBA of International Business at Korea University)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MdiV at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BA of Mass Communication at Korea University)
총신대학교 신학과 졸업(BA of Theology at Chongshin University)